본문 바로가기
올 어바웃 일본/일본 여행 최신정보

우뇌형 좌뇌형 인간?? 과학적 증거 없다.

by Jeami 2013. 8. 29.
반응형



@ 나는 우뇌형 인간일까? 

@ 내 여자친구는 길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데, 어느쪽 뇌가 활성화되지 못하는거지?

@ 남자와 여자는 사용하고 있는 뇌의 다르기 때문에 그렇게 차이가 나는걸까? 그래서 결국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걸까?

@ 나는 밤이 외로워.. 난 너무 감성적이야.. 하지만 난 수학을 전공하고 있지.. 난 좌뇌/우뇌 어느쪽?


이 물음들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얻을 수 있을까? 글쎄.. 

최근 미국 대학의 한 연구팀에 의해 인간을 좌뇌형 혹은 우뇌형이라는 것으로 구분할 과학적 증거가 없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그 사람 사고 방식의 특징과 유형을 가리키는데 우뇌이라든지 좌뇌이라는 말이 자주 사용된다. 남성은 좌뇌 형 , 여성은 우뇌형이 많다라고도 하고 "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는 우뇌형의 인간의 전형적인 예라고도 한다.





우뇌형 사람들은 독창성이 있고 정서적으로 예민한 반면, 좌뇌형의 사람은 논리적이고 분석 으로 여겨져 각각 우뇌와 좌뇌를 사용하면서 어느 쪽에든지 치우쳐 있다고 믿고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 일은 없다고 한다. 최신 연구 결과는 우뇌와 좌뇌의 활동에 개인차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미국 유타 솔트 레이크 시티에있는 유타 대학의 신경 과학자인 제프 앤더슨이 이끄는 연구팀은 2 년 에 걸쳐 7 ~ 29 세 의 1011 명의 피험자의 뇌 신경 활동을 관찰, 7000 이상의 부분으로 나눈 뇌 영상에서 우뇌 · 좌뇌의 기능에 개인차가 있는지 여부를 IDI ( International Neuroimaging Data - Sharing Initiative 국제 신경 이미지 데이터 공유 이니셔티브 ) 라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얻은 MRI 뇌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 했다.



그 결과, 좌우  뇌 기능 사용  개인차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그 관련성은 발견 할 수 없었다고 한다. 언어 기능은 좌뇌, 주의력은 우뇌와 같이 기능에 따라 왼쪽이나 오른쪽 뇌가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 사람이 어느 뇌가 한쪽 뇌보다 더 강하게 활동적이고 더 많이 사용하는지에 대한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결론을 맺자면, 어느 한 인간을 우뇌형 인간인지 좌뇌형 인간인지는 과학적 근거로 인해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때문에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말할 때 좌뇌형 우뇌형으로 구분해서 말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겠다.



반응형

loading